귀농귀촌/강원 (Editor) 2017. 11. 8. 06:54
양양군은 어떤 곳인가 인구 : 2만7254명 (1만3382세대)면적 : 629.43㎢행정구역 : 1읍5면, 124개리 436반교통여건 : 7번국도, 44번국도, 56번국도, 59번국도, 동해고속도로, 서울양양고속도로, 양양국제공항 귀농귀촌인을 위한 지원 내용 귀농귀촌 아카데미 교육 교육기간 : 매년 4월~10월 실시교육대상 : 귀농귀촌을 희망하는 도시민내용 : 양양으로 귀농귀촌을 위한 양양군 소재 교육 농가현장실습 지원 교육대상 : 선도농가에서 영농기술 및 지도를 받고 창업교육내용 : 최대 5개월, 월 20일 영농기술습득지원내용 : 월 80만원 지원 농업창업자금 융자 지원금액 : 최대 3억원 한도융자조건 : 연 2%, 5년 거치, 10년 균등분할 상환지원대상 : 기반시설 구매자금 (농지, 농기계, 농업시..
알쓸농촌 (Editor) 2017. 11. 1. 16:00
(알아두면 쓸모있는 농촌 정보) 귀농귀촌을 준비 하려면 신경써야 할 일들이 많은데, 그 중 반드시 알아두면 좋은 귀농귀촌 관련 팁 7가지를 소개합니다. 1. 계획없는 귀농은 실패의 원인이다 막연하게 이상적인 생각만 갖고 농촌에 이주했다간 가혹한 현실을 맛볼 수 있습니다. 육하원칙에 의거해서 단계별 계획을 세워, 철저한 준비를 해야 새로운 환경에 잘 적응할 수 있는 확률이 높습니다. 2. 부지 구입 전 인허가부서의 자문을 필히 받아라 토지는 용도지역과 지목, 형상에 따라 개발이 다릅니다. 무리하게 토지를 구입하면 손해를 되돌리기 어렵습니다. 군청의 인허가부서에서 구입하고자 하는 토지에 대한 자문을 반드시 받길 바랍니다. 3. 고비용이 수반되는 귀농귀촌은 재검토가 필요하다 도시와 달리 농촌은 소비층이 두텁지..
알쓸농촌 (Editor) 2017. 10. 31. 13:20
(알아두면 쓸모있는 농촌 정보) [질문] Q. 귀촌을 준비하고 있는데 귀촌을 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이나,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답변] A. 가장 중요한 건, 귀촌을 하는 목적을 명확하게 하는 것입니다. 시골도 사람이 어울려 사는 곳 아니겠습니까. 만약 귀촌의 목적이 인간관계로부터 조금 더 자유로워지는 것이라면, 집의 위치를 최대한 마을과 떨어진 곳에 두는 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시골은 여전히 이웃간에 친밀도가 높아, 서로 잦은 교류를 합니다. 도시 생활에 익숙한 분들이라면, 이러한 관심과 친절이 부담스러울 수도 있습니다. 도시에서의 복잡한 관계형성이 피곤해서 귀촌을 결심했는데, 시골에서도 새로운 환경에서 인간관계를 맺어야 한다면, 피로와 스트레스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아무래도 집이 마을과 동떨어진 곳..
집찾기 (Editor) 2017. 10. 25. 07:00
(알아두면 쓸모있는 농촌 정보) [질문] Q. 귀농귀촌을 준비 중인데, 현명하게 농지나 집을 구매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답변] A. 제 경험을 말씀드리자면, 귀농귀촌 박람회에 참석했을 때 이야깁니다. 선배 귀농은 농지나 집부터 구매하지 말고, 귀농귀촌을 결심했다면 그 지역을 자주 내려가서 현지인들의 이야기를 많이 듣고, 현지문화를 접해보라고 조언했습니다. 그렇게 관계가 형성되고 서로의 신뢰가 쌓이면 자연스레 현지인들도 마음을 열고, 현지인들만 알고 있는 정보를 공개한다는 겁니다. 즉 외지인에 비싸게 팔리는 땅도, 현지인들 사이에선 저렴하게 거래가 되는 경우가 많다는 이야기죠. 요즘 귀농귀촌 열풍을 틈타, 최근 몇년 사이 일부 시골 땅의 매도 호가는 높게 형성돼 있습니다. 주변인이나 전문가들이 "..
귀농귀촌/강원 (Editor) 2017. 10. 11. 12:58
영월은 어떤 곳인가 강원도 남부에 위치한 영월군은 북부에 차령산맥이 뻗치고, 남부에는 남서로 향한 소백산맥이 호위하고 있다. 중동면 직동리와 정성군 남면 무릉리와의 사이에 위치한 두위봉(1,465.9m)이 최고봉으로, 군 체적으로 해발은 180~1,466m 사이에 있다. 영월군은 충절과 역사, 김삿갓의 풍류가 남아 있는 강원남부 내륙관문 중심도시로 문화관광지로써의 성장 잠재력도 매우 높다. 영월로 가는 교통편 기본현황 면적 : 1,127.6㎡ (강원도의 6.7%, 전국의 1.13%). 임야 85%, 농경지 9%, 기타 6%인구 : 19,597가구. 40,191명 (2015년 12월 31일 기준)행정구역 : 2읍 7면 179개리산업구조 : 3차 산업 46%, 2차 산업 17%, 1차 산업 37% 자연여건 ..
알쓸농촌 (Editor) 2017. 9. 5. 01:37
(알아두면 쓸모있는 농촌 정보) 귀농의 종류도 여러 가지가 있다. 농사를 전문적으로 짓는 전업 귀농, 농사 이외에 다른 일을 겸하는 겸업 귀농, 귀농은 하지만 농사는 짓지 않고 연관된 업종에서 일을 하는 농업파생귀농이 있다. 귀촌은 농촌에서 농업에 종사하지 않거나 도시로 출퇴근하는 이들을 뜻한다. 또는 주말마다 농촌으로 내려와 텃밭을 가꾸거나 여유 있는 전원생활을 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귀촌의 경우 상황에 따라 상호 유기적으로 시와의 관계를 완전히 끊지 않고 농촌 생활을 시작해 성과의 전망이 좋으며, 겸업귀농이나 전업귀농으로 전환되기도 한다. 성공하는 귀농 7단계 1단계 : 귀농결심지금까지 살아왔던 생활 기반을 떠나 농촌에서 처음하는 농업에 종사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귀농을 결심하는 단계는 사전..
알쓸농촌 (Editor) 2017. 8. 30. 13:14
(알아두면 쓸모있는 농촌 정보) 시골에도 '고수익' 일자리는 충분히 존재한다 우리가 지방에 대해서 오해하고 있는 것 중 하나는 '일자리가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일자리가 없다는 건 오해에 불과하다. 지방자치단체 홈페이지 접속하면, 지금도 채용공고는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고 있다. 조금만 관심을 기울이면, 일자리를 찾는 건 그렇게 어렵지 않다. 고수익 일자리도 상당수 존재한다. 일례로 입업(벌목업 등)의 경우, 시골의 고령화로 인해 인력난에 허덕이고 있다. 종사자의 평균 연령은 50대를 뛰어넘는다. 30~40대 젊은 층이 임업에 관심을 갖고, 관련 자격증을 취득하면, 전문가로서 새로운 길을 갈 수 있다. 또한 이 분야 종사자의 연간 소득액은 상당히 높다. 협동조합이나 농가마을에선 사업을 물려받을 '후계자'..